원자재와 희토류가 한국 경제에서 점점 더 중요해짐에 따라 전문가들은 아시아 4위의 경제 대국인 한국이 몽골과 미래 에너지 및 주요 광물자원 분야 협력을 확대할 것을 제안합니다.
정태영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주 몽골의 성장 잠재력과 한국의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정씨는 “한국은 몽골에서 비행기로 2시간 30분 거리에 있어 지리적으로 가깝다”고 말했다. “정서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두 나라 사이에는 약간의 거리도 있습니다.”
한국과 몽골은 1990년 3월 무역 관계를 맺었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한국은 몽골의 4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며, 2022년 대외 무역 규모는 212억 달러에 달할 것입니다.
몽골은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무역 상대국이지만, 아시아 4위의 경제 대국인 몽골이 보다 적극적으로 몽골과 협력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고 정씨는 말했다.
이 교수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더 많이 팔자는 게 아니라, 갤럭시 기기 제조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 그런 의미에서 몽골은 (재료에 있어서) 매력적인 나라”라고 설명했다.
고려대에서 글로벌에너지기술정책전문가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강씨는 몽골 학생 8명을 가르치며 한국과 몽골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면 ‘윈윈’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강씨는 “몽골은 희토류와 우라늄이 풍부한 나라로 알려져 있는데, 자원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우리가 도와줄 수 있다”고 말했다. “몽골은 태양 에너지는 물론 탄소 시장 측면에서도 우리의 에너지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 몽골의 광대한 영토는 차량 테스트 플랫폼과 같은 또 다른 자원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정씨는 “몽골의 경우 울란바토르가 도시개발을 하면 전력이 부족해 다른 나라에서 도와주길 바란다”며 “태양광과 풍력에너지는 잠재력이 있지만 자금과 기술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이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은 리튬, 망간, 코발트 등 희토류 원소가 필요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입니다. 이러한 자원을 몽골에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그러나 몽골은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이 필요할 정도로 정치적,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이는 한국 대기업의 몽골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강 연구원은 말했습니다.
따라서 그는 민간 기업에 미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 부문이 먼저 협력의 길을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정 총리는 칭기즈칸 국제공항에서 울란바토르 시내까지 직행 노선이 부족한 사례를 들어 한국 공공부문이 공적 개발 지원을 통해 교통 인프라를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두 전문가는 양국 간 협력 확대를 위한 체계적인 국가전략 마련을 주문했다. 두 교수는 한국이 몽골에 대한 사업기회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몽골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개발하고 장기적인 미래계획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리아헤럴드앤헤럴드경제 신문 발행사인 헤럴드코퍼레이션은 ANSI재단과 협력하여 8월 27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한-몽 미래전략포럼을 개최한다. 반기문재단 김숙 이사장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두 교수는 이번 포럼이 양국을 연결하고 ‘윈윈(win-win)’ 전략을 수립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경순은 통찰력 있고 사악한 사상가로, 다양한 음악 장르에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힙스터 문화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그의 스타일은 독특합니다. 그는 베이컨을 좋아하며, 인터넷 세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여줍니다. 그의 내성적인 성격은 그의 글에서도 잘 드러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