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이 도쿄의 일본은행 근처를 걷고 있다. (AFP/연합)
원-달러 환율이 또다시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원화 가치 하락은 축하할 일이 아니다.
예상외로 강한 미국 경제와 미국 연준이 언제 금리를 인하할 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달러 강세가 원화 가치를 낮추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달러화 강세만이 원-달러 환율 상승의 유일한 요인은 아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국내 경제와 국제 정세의 변화가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환율은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먼저 주목해야 할 점은 원화 약세가 엔화와 위안화 약세를 동반했다는 점이다.
일본 은행은 정책을 변경하여 수년간의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했지만 엔화 가치가 예상보다 약해지면서 엔/달러 환율이 다시 150엔을 넘어섰습니다.
엔화 약세는 일본은행이 국채 매입을 지속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결정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반면,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이 엔화 약세를 용인하는 것도 또 다른 요인이다.
단지 일본 정책입안자들이 일본 경제를 안정적인 경로로 되돌리기 위해 필요하다고 보는 특이한 엔화 약세의 유지를 중단할 생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중국도 위안화 약세를 용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은 위안화가 너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위안화의 기본 조건에는 동의합니다. 이는 중국 경제가 취약한 내수를 극복하기 위해 애쓰는 상황에서 수출을 성장 동력으로 삼으려는 노력과 분명히 연결되어 있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 약세를 용납하는 또 다른 분명한 이유는 '고품질 발전' 전략의 핵심인 전기차, 2차전지 등 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능력 때문이다.
엔화 약세를 이웃돕기 정책으로 해석할 수준은 아니지만, 이것이 우리 경제와 산업에 완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엔/원 환율은 900원 조금 안팎(100엔당)으로 안정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우리 경제에 작지만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
원화 약세의 또 다른 원인은 국내 요인이다. 국내 수출시장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조선을 제외한 업종의 경기 사이클은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게다가 국내 시장 침체도 예상보다 심각하다.
물가 부담,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채 부담, 부동산 시장 위축 장기화 등이 내수 위축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신용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4월 부동산 프로젝트 자금 조달 문제로 위기가 터졌다는 루머는 정부의 적극적인 유동성 정책 덕분에 어느 정도 잠잠해진 상태지만, 국내 사업 여건이 완전히 수익을 실현하는 데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는 지켜봐야 한다. 회복. 국내 동향만 보면 원-달러 환율이 더 이상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달러당 1,300~1,350원 환율이 뉴노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금리 정책이 변화하고 있는 과도기 속에서 각국은 자국의 발전된 산업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공급측면 경제를 향한 산업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일부 세계 주요 경제의 환율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한국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 정책 흐름에 편승하지 않으면 예측하기 어려운 원-달러 환율 상승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글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
질문이나 의견은 다음 주소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경순은 통찰력 있고 사악한 사상가로, 다양한 음악 장르에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힙스터 문화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그의 스타일은 독특합니다. 그는 베이컨을 좋아하며, 인터넷 세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여줍니다. 그의 내성적인 성격은 그의 글에서도 잘 드러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