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1월 11, 2025

서평: 『고려대학교 이야기』, 젊은 여성 작가의 초상

날짜:

朝鮮大学校物語(그는 Daigaku Monogatari를 선택했습니다.)
양영희 지음. 도쿄: Kadokawa, 2022. 254 p.

도꾜 조선대학교 이야기 (도쿄 조선태휴규 나는 원해요)
양영희 지음. 서울: 마음산책, 2023. 243쪽.

고려대학교 이야기(朝鮮大学校物語) 표지 [Chosen Daigakko Monogatari]), 양용화.

자신의 삶이나 소설 쓰기의 구체적인 경험을 이야기하는 데 성공한 작가는 자신의 시간과 장소에 대한 매혹적인 초상화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제임스 조이스 젊은 시절의 예술가의 초상 아일랜드 가톨릭 양육에 대해 질문하고 외면하는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입니다. 또 다른 이야기는 양용화 감독의 이야기다. 조선대학 오노가타리 (고려대학교 이야기), 올해 초 한국어로 출판된 소원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로 도쿄조선태학교 야기.[1]

그녀의 첫 번째 소설인 양의 소설은 예술만큼이나 평범하다. 그녀의 이야기에는 William Faulkner, Gabriel García Márquez, You Merry와 같은 유명한 소설가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기법인 마술적 사실주의나 의식의 흐름과 같은 복잡한 문학적 번영이 부족합니다. 그러나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친북동포들의 삶의 현실을 독자들에게 소개했다는 점에서 양씨의 잘 쓰여진 이야기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양 벽지

1964년 일본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한국 사회의 중심지인 오사카에서 양용희로 태어난 그녀는 4남매 중 막내이자 부모의 외동딸이었다. 한국 남해안 제주도에서 태어난 아버지 양공순(양공선)은 1942년 15세의 나이로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에 정착했다. 그녀의 어머니 강종희(강종희)는 1930년 오사카에서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45년, 그들은 오사카와 다른 일본 도시들을 파괴하고 있던 미국의 폭탄을 피하기 위해 그녀를 고향인 제주도로 데려갔습니다. 4·3사변과 1948년 4월 제주항쟁, 그리고 미군정 시절 우익·경찰·조선군의 잔인한 탄압을 목격하고 1948년 강씨는 오사카로 돌아왔다. 4·3사변, 그해 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재일조선인들이 만연한 차별을 겪으면서 양 씨의 부모는 평양을 지지하게 됐다. 양용희의 아버지는 재일조선인총연합회 간부가 되었다. 의회 그리고 일본어로 소렌이 선택한). 그녀의 어머니는 제주에서 본 후 남편보다 한국을 더 미워했다.

양용희는 오사카의 친북가정에서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믿음 때문에 일찍부터 트라우마를 겪었다. 1971년과 1972년에 걸쳐 그녀의 아버지는 북한으로의 한국인 “송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녀의 세 형제를 평양으로 보냈습니다. 의회 일본의 아슈라프. 그녀의 형제 자매는 그 후로 일본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지 않았지만, 그들 중 한 명은 치료를 받기 위해 잠시 귀국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습니다.

양씨는 학생들이 한국어를 ‘국어’로 가르치는 친평오사카조선고에 다녔다.[2] 이후 종북() 종파의 정점인 동경 고려대학교(KU) 예술학부를 다녔다. 졸업 후 양씨는 오사카조선고등학교로 돌아와 2년 동안 한국어를 가르쳤다.

그녀가 믿음을 잃은 후 의회 그리고 수년에 걸쳐 북한은 그녀의 양육을 중단했습니다. 그녀는 한국어 교사 자리를 그만두고 The New School에서 미디어 연구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뉴욕으로 갔다. 그 후, 그녀는 가족, 일본과 북한의 친북 한인 커뮤니티에 대한 여러 다큐멘터리와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그녀의 북한 여권을 대한민국 시민권으로 교환했습니다.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그녀는 일본 남자와 결혼했습니다.

영화와 소설

재일조선인의 삶을 그리면서 재일 (샤일 쿠보 또는 가엘 기우보 in Korean) 양용희는 가족에 대한 세 편의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그녀는 아버지를 첫 다큐멘터리의 초점으로 삼았고, 친애하는 평양 (디아・피옌, 디어평양, 2005). 평양에 살던 그녀의 조카 선화(선화)가 두 번째 다큐멘터리의 중심에 섰다. 소나, 또 다른 나 (愛しきソな, 굿바이 평양, 2009). 양의 어머니가 초점이다. 수프와 이데올로기 (스프토이데오로기, 수프와 이데올로기, 2021), 그녀의 가족 다큐멘터리 3부작 중 세 번째. 두 번째와 세 번째 다큐멘터리 사이에 양 감독은 드라마를 연출했다. 우리 집 (かぞくのくに, 가족의 나라, 2012), 그녀의 남동생 중 한 명이 치료를 위해 일본으로 잠시 돌아온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발매 직후 우리 집일본 출판사인 가도카와는 그녀에게 소설을 쓰기 위해 접근했다. 양은 청혼을 받아들여 한 청년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이야기를 썼다. 재일 박미영(박미영)이라는 한국인 여성. 이야기는 1983년부터 1987년까지 고려대학교 학생으로서의 각 연도에 대한 에피소드를 4개 장으로 나누어 고려대학교에서 보낸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녀는 종북 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는 평범한 진로를 따르며 학교와 그 이데올로기가 부과하는 많은 제한을 싫어합니다. 모든 고대생은 교내 생활, 한국어로만 말하기, 교복 차림으로 수업 참석, TV 시청 금지, 학교에서 허용하는 책과 잡지만 읽기 등의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대학에서 미용은 교수를 만난다. 재일 일본인의 정체성을 가장하여 차별을 피하기 위해 한국 본명을 사용하는 한국 배우.[3] 영감을 받은 미영은 결국 자신의 한국 이름을 사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미영은 고려대학교에서 자신을 대학 당국에 고발할 동급생을 만나는 것이 두렵고, 북한 기준에 따라 살지 않는다는 이유로 평양에서 추방된 친척을 방문하고, 한때 그녀를 위해 배를 타고 다니는 등 반한 정서를 여전히 경험하고 있다. 가족 보호 관찰 중입니다. 대학을 마칠 무렵, 이때까지만 해도 깊숙이 고립된 미영은 오사카로 돌아가라는 고려대의 명령을 거부한다. 졸업식에서 그녀는 공동체를 떠나 홀 밖으로 나갔다.

사랑과 소외 도쿄에서

내 생각에는 고려대학교 이야기 그것은 젊은 여성의 형성기 대학 시절에 대한 소설로 그 자체로 서 있습니다. 양용희는 영화와 연극의 세계를 탐구하는 미용의 예술에 대한 사랑, 그녀를 고려대학교의 벽을 넘어 더 넓은 세상으로 이끄는 충동에 대해 유동적으로 글을 씁니다. 대학과 지역 사회의 경계 밖에서 그녀는 또한 일본 남자와 사랑을 발견합니다.

소설은 사랑 이야기인 만큼 소외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미영은 자신이 아웃사이더임을 알게 된다. 그녀는 대학의 규제에 반발하고 선전을 거부하며 북한 현실의 불편한 증인이 된다. 중간에 총룬 지도자 김일성에 관한 영화를 보는 군중 속에서 미용은 자신의 스타일이 레니 리펜슈탈의 나치 선전 영화와 불안할 정도로 비슷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미영은 자신의 조국인 일본에서도 북한에서도 외국인 취급을 받으며 편안한 외국인 전용 객차를 타고 신의주로 향한다.

이 소설에서 인상 깊었던 점은 양용희가 재일조선인과 친북조선인에 대한 리얼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었다는 점이다. Yang은 독자에게 1980년대의 한국 대학과 북한을 보여줍니다. 집단적 감독과 지시에 개인이 복종하는 “조직 생활”(組織生活, 조직 생활)의 개념은 쿠웨이트 대학 위원회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의회, 그리고 김일성과 김정일이 이끄는 북한. 평양 언론에서 김정일의 신비한 모습을 이름 없는 ‘당 중심’으로 지칭하는 것이다.[4] 재일조선인학생회(留学同, 류학동)는 고려대학교 이외의 대학에 다니는 친북학생들을 위한 모임이다. 귀국하는 동포들의 입장에서 우리는 평양이 해외시민국 간부들을 파견해 체류기간 동안 이들을 감시하고 돌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5] 일본어 소설과 한국어 소설을 비교할 때 원작과 거의 일치하는 번역의 차이점이 궁금했습니다. 원문에서 미영 등이 우리말을 하면 일본어 본문 위에 음역으로 나온다. 반면에 한국어 번역에서는 한국어 독자에게 불필요한 제목이 사라졌습니다. 원문에는 다음과 같은 한국어 요소에 대한 설명이 가끔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시마 초구리 (치마 저고리) 고려대 여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착용한 것으로, 한국어 번역본에는 일본 조선족 고등학교가 무엇인지, 일본 술집의 “마스터”가 무엇인지, 일본 팝스타 마츠다가 무엇인지 등을 설명하는 주석이 추가되었습니다. 1980년대에는 세이코가 있었습니다. 원문에 충실한 듯한 번역에서 유일하게 미영이 미영을 동경하는 부분을 반성하는 대목이 부족해 보였다. [Korean] 반도”)(230), 한반도 전역 사람들의 따뜻함을 섬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예비군과 비교. [South] Koreans”)(226). 이 번역은 한반도의 전체 인구를 대한민국만으로 줄이고 대륙의 온난함과 고립된 보호구역 사이의 대조를 제거합니다. 평양 재일 재일한인사회. 언젠가 이 이야기가 더 많은 사람들이 읽을 자격이 있기 때문에 영어로 나오기를 바랍니다.



관련 기사

Bit Octopus, 한글 지원 및 독특한 기술로 국내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며 거래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다

중국 홍콩 — 글로벌 핀테크 시장에서 Bit Octopus가 빠른 속도로 한국 금융 무대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업계 최초로 역전...

Battletoads/Double Dragon이 Nintendo의 Switch Online 라이브러리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NES 및 SNES 콘솔 시대에 자랐다면 이 게임이 이후 최고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라는 사실을 알고 기뻐할 것입니다....

White Fragility 저자 Robin DiAngelo에 대한 표절 고소가 기각되었습니다. 서적

지난달 'White Fragility'를 비롯해 인종차별에 관한 여러 책을 쓴 로빈 디안젤로(Robin DiAngelo)를 대상으로 제기된 표절 고소장이 기각됐다.DiAngelo의 2004년...

2024 한국영화제, 우정을 다룬 영화 5편

크리스토퍼 퍼넬(Christopher Purnell) - Philstar.com2024년 9월 18일 | 오후 7시 14분 마닐라, 필리핀 - 올해 한국영화제는 한국과 필리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