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한국과 일본의 지도자였던 고종과 메이지는 공통점이 많았다. 같은 해에 태어난 두 사람은 청년으로 왕위에 올라 개항의 과제에 직면했다. 저자는 일본의 세간론(조선침략론)파와 한국의 청군파병 요구를 비교한다. 1873년 메이지는 일본 정치에서 정한론을 강력하게 축출하고 근대화에 주력했고, 1894년 동악농민운동이 일어나자 고종은 국군의 출병을 요청해 일본을 장악할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다. 한국에.
한국과 일본이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된 요인은 무엇입니까? 대부분의 경력을 금융 및 컨설팅 분야에서 보낸 법조인인 그는 이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과 일본의 현대사를 탐구하는 독학 서적을 출간했습니다. 경제학과 경영학의 전문가인 저자는 “역사에서 배운 교훈이 미래 세대를 위한 보험”이라는 믿음에 책을 펴게 됐다. 그는 “현대사에서 우리가 갖고 있는 복잡성의식을 제거하지 않으면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1850년 설종의 즉위가 시작되자 작가는 한일조약이 체결된 1905년까지 조선을 불행한 운명으로 이끈 지도자를 거침없이 비판한다. 이 책은 또한 근대화 과정에서 신정으로 회귀한 일본과 달리 평등주의 사상을 발견하고 전파한 최제우(1824~1864), 요시다 쇼인(1830~1859) 등 근대 인물 39명을 소개한다. 일본 극우 진영의 정신적 후원자이자 일본 정신에 서양 기술의 활용을 강조한 대표적인 정한론 이론가.
“학생 시절부터 문화와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가진 카 범석은 대중 문화의 세세한 부분에까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맥주를 사랑하며, 특히 베이컨에 대한 깊은 연구와 통찰을 공유합니다. 그의 모험심과 창조력은 독특하며 때로는 트러블 메이커로도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