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한에 사전 통보 없이 임진강 상류의 황강댐에서 방수를 하고 있다.
서울과 평양은 접경지역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댐 방류 전 사전에 상호 통보하기로 했다. 그러나 북한은 남한에 대한 통보를 정치적인 문제로 보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6월 말부터 북한이 현지 여건에 따라 황강댐 방류를 반복적으로 해 왔다고 화요일 기자들에게 말했다.
이어 “며칠 전 황강댐에서 일부 물이 유출됐지만 우리 측에서 피해를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South Korea]”라고 말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6월 28일 북한이 댐을 개방할 경우 사전에 남측에 통보할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한 바 있어 장마철 접경지역 침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서울에 미리 알리지 않은 채 폭우가 쏟아질 때마다 황강댐의 물을 방류하고 있다.
북한의 고위 관계자는 데일리NK에 “물이 하류로 흘러가는 것은 당연하고 남한이 알아서 홍수에 대비해야 한다.
이어 “비가 많이 오면 댐을 여는 것이 당연하다”며 “왜 한국 정부에 알려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남한은 우리보다 현대적이어서 우리가 문을 열었는지 안 열렸는지 우리가 알리지 않아도 알잖아요. 그래서 사전 통보를 요구하는 데 정치적인 동기가 있는 것 아닙니까?”
본질적으로 인명 및 사망을 방지하기 위한 북한의 방류수 사전 통보 요구조차 정치적인 동기로 해석된다.
다만 댐 방류 전 남측에 통보할지 여부는 중앙위가 직접 결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국가수문청과 내각이 방류 여부를 결정하지만 당은 정치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 대남 통보 여부를 결정한다.
2009년 9월 북한은 황강댐에서 4000만 입방미터의 물을 방류해 경기도 연선군 임진강 아래에서 캠핑을 하던 남측 주민 6명이 숨졌다.
이후 남북은 그해 10월 임진강 범람을 막기 위한 실무회담을 가졌다.
이후 북한은 황강댐에서 2010년 2회, 2013년 1회 등 수차례 서울에 통보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북한은 남한에 알리지 않고 방류하며 합의를 지키지 않고 있다.
북한이 자국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책략으로 인도적 협력에 초점을 맞춘 협정 이행을 거부한 데 대해 남한에서 비판을 받는 이유다.
오경섭 통일연구원 애널리스트는 데일리NK와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은 남측이 국제적 수준을 높이는 데 협력하지 않으면 어떤 분야에서도 남북 간 협력이 없을 것이라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평양에 대한 제재.
그는 “황강댐에서 물이 나온다 해도 북한이 인도적 차원에서 재난 예방에 적극 협력할 수는 있지만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침수 방지를 위해 방류 시 남한에 사전 경고를 강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오 의원은 국제법이나 제재를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정권이 인도적 협력과 핵 문제 등 군사적 문제를 분리하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고 덧붙였다.
“학생 시절부터 문화와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가진 카 범석은 대중 문화의 세세한 부분에까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맥주를 사랑하며, 특히 베이컨에 대한 깊은 연구와 통찰을 공유합니다. 그의 모험심과 창조력은 독특하며 때로는 트러블 메이커로도 알려져 있습니다.”